산재는 업무상 발생한 부상이나 질병으로 인해 근로자가 노동능력을 일부 또는 전부 상실하게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. 산재로 인해 장애가 남은 경우 근로자는 산재 보험법에 따라 장애등급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산재 장애등급
산재 장애등급은 장애의 정도에 따라 1급부터 13급까지 13개 등급으로 구분됩니다. 1급은 장애가 가장 심각한 경우이며, 13급은 비교적 가벼운 장애인 경우입니다.
1급: 두 눈이 실명된 경우
2급: 한쪽 눈이 실명되고 다른 쪽 눈의 시력이 0.02 이하인 경우
3급: 한쪽 눈이 실명되고 다른 쪽 눈의 시력이 0.06 이하인 경우
4급: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.06 이하인 경우
5급:
- 한쪽 눈의 시력이 0.6 이하인 경우
- 한쪽 눈에 반맹증 또는 시야협착이 남은 경우
- 한쪽 귀의 귓바퀴가 중등도로 상실된 경우 또는 두 귀의 귓바퀴가 경도로 상실된 경우
- 5개 이상의 치아에 치과 보철을 한 경우
- 한쪽 손의 새끼손가락을 잃은 경우
6급:
- 한쪽 팔꿈치 관절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
- 한쪽 무릎 관절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
- 한쪽 발목 관절의 기능이 상실된 경우
- 한쪽 손의 기능이 1/2 이상 상실된 경우
- 한쪽 다리의 기능이 1/3 이상 상실된 경우
7급:
- 두 팔꿈치 관절의 기능이 각각 1/3 이상 상실된 경우
- 관절의 기능이 각각 1/3 이상 상실된 경우
- 두 발목 관절의 기능이 각각 1/3 이상 상실된 경우
- 두 손의 기능이 각각 1/3 이상 상실된 경우
- 두 다리의 기능이 각각 1/4 이상 상실된 경우
8급:
- 허리의 기능이 1/2 이상 상실된 경우
- 척추의 기능이 1/4 이상 상실된 경우
- 내장의 기능이 1/3 이상 상실된 경우
9급:
- 머리의 기능이 1/3 이상 상실된 경우
- 뇌의 기능이 1/4 이상 상실된 경우
- 감각기능의 기능이 1/2 이상 상실된 경우
10급:
- 심장의 기능이 1/2 이상 상실된 경우
- 폐의 기능이 1/3 이상 상실된 경우
- 혈액순환기관의 기능이 1/3 이상 상실된 경우
11급:
- 간의 기능이 1/2 이상 상실된 경우
- 신장의 기능이 1/3 이상 상실된 경우
- 소화기관의 기능이 1/3 이상 상실된 경우
12급:
- 대사기능의 기능이 1/2 이상 상실된 경우
- 생식기능의 기능이 1/2 이상 상실된 경우
13급: 정신 기능 장해의 정도가 1/2 이상인 경우
산재 장애등급별 보상
산재 장애등급에 따른 보상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연금: 장애등급에 따라 매달 지급되는 금액이 결정됩니다. 1급의 경우 연간 소득의 70%, 13급의 경우 연간 소득의 10%가 지급됩니다.
- 일시금: 장애등급에 따라 일시에 지급되는 금액이 결정됩니다. 1급의 경우 연간 소득의 140%, 13급의 경우 연간 소득의 20%가 지급됩니다.
- 의료급여: 치료에 필요한 비용을 지급합니다.
- 재활급여: 장애로 인한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에 필요한 비용을 지급합니다.
- 보조기구급여: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보조기구 구입 비용을 지급합니다.
산재 장애등급 판정 기준
- 산재 장애등급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판정됩니다.
- 신체기능 장해: 신체의 기능 상실 정도
- 정신기능 장해: 정신 기능 상실 정도
- 기능저하: 근로능력 저하 정도
- 기타: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 정도
산재 장애등급에 대한 문의는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(https://www.comwel.or.kr/comwel/main.jsp) 또는 가까운 근로복지공단 지점에서 문의할 수 있습니다.
산재 장애등급 판정 절차
- 산재로 인해 장애가 남은 경우 근로자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장애등급을 판정받을 수 있습니다.
- 요양신청: 근로자는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인해 치료를 받는 동안 요양신청을 합니다.
- 요양종료: 치료가 종료되면 근로자는 산업재해보상보험공단에 요양종료신고를 합니다.
- 장애등급 판정신청: 산업재해보상보험공단은 근로자의 신청을 접수한 후 장애등급 판정을 진행합니다.
- 장애등급 판정: 산업재해보상보공단은 의료기록, 신체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장애등급을 판정합니다.
- 보상 지급: 산업재해보상보공단은 판정된 장애등급에 따라 근로자에게 보상을 지급합니다.
결론
산업재해로 인한 장애는 개인과 그 가족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만, 적절한 지원과 보상을 통해 피해자가 다시 사회로 복귀하고, 건강하고 활동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.
장애 등급별로 제공되는 보상과 서비스는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, 각 개인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통해 최대한의 회복과 재활을 도모합니다.
따라서, 산업재해를 당한 노동자나 그 가족은 자신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지원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,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산재 장애등급 판정 관련 정보
- 산업재해보상공단 홈페이지: https://www.comwel.or.kr/comwel/main.jsp
- 산재 장애등급 보상: https://www.comwel.or.kr/comwel/comp/rewd/hand01.jsp
'생활의 지혜 > 생활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야드 몇미터 몇센티 거리 계산하기 (0) | 2024.04.12 |
---|---|
1ha는 몇m2 몇평, 면적환산 방법 알아보기 (3) | 2024.04.12 |
허리 32인치는 몇cm일까요? (1) | 2024.04.12 |
아침 공복에 커피, 마셔도 될까요? (0) | 2024.04.11 |
현대카드 아멕스 플래티넘, 프리미엄한 혜택과 조건 (0) | 2024.04.11 |
한글이름 영문변환 쉽고 빠르게 (0) | 2024.04.11 |
밥 냉장, 냉동 보관 기간 (1) | 2024.04.10 |
이마보톡스 부작용해결 방법 (0) | 2024.04.10 |
댓글